• 최종편집 2024-04-27(토)
 
[교육연합신문=김홍제 칼럼] 

김홍제2.jpg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는 소설가 박완서(1931-2011)가 1970년대를 배경으로 쓴 단편소설 제목이다. 종로 학원가에서 가이드가 이곳에서는 소매치기를 조심하라고 일본인 단체 관광객에게 일본말로 소근거린다. 중년여성 화자인 나는 일본어를 알아듣고 모처럼 찾아온 ‘부끄러움의 통증’과 그것을 만인이 공유하고 싶은 간절한 심경을 말한다. 
 
“처음엔 나는 왜 내가 그 말뜻을 알아들었을까 하고 무척 미안하게 생각했다. 그러다가 몸이 더워 오면서 어떤 느낌이 왔다. 아 그것은 부끄러움이었다. 그 느낌은 고통스럽게 왔다. 나는 마치 내 내부에 불이 켜진 듯이 온몸이 뜨겁게 달아오르는 걸 느꼈다. 나는 각종 학원의 아크릴 간판의 밀림 사이에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라는 깃발을 펄러덩펄러덩 훨훨 휘날리고 싶다. 아니, 굳이 깃발이 아니라도 좋다. 조그만 손수건이라도 팔랑팔랑 날려야 할 것 같다.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라고. 아아, 꼭 그래야 할 것 같다. 모처럼 돌아온 내 부끄러움이 나만의 것이어서는 안 될 것 같다.” 
 
부끄러움을 잃어버린 것이 소설의 ‘나’뿐만은 아니다. 후안무치, 적반하장, 견리망의. 정작 부끄러움을 느껴야 할 사람들은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한다. 그들이 지도층이라면 더욱 서글프다. 맹자가 성선설의 싹에 해당하는 4단(端) 중에 수오지심(羞惡之心)을 밝힌 것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기 위함이었다. 맹자는 ‘염치를 모르면 인간이 아니다’라고까지 말한다. ‘유교경(遺敎經)’에서도 ‘부끄러워할 줄 모르는 사람은 금수와 다를 바가 없다’고 했다. 
 
부끄러움은 내적 두려움이고 양심의 발로이다. 창피함은 외적 두려움이다. 부끄러움은 자신에게 부끄러운 것이고 창피한 것은 타인에게 부끄러운 것이다. 부끄러움과 창피함을 모르면 세상은 동물의 왕국이 된다. 야만의 시대에는 저항하는 사람을 억압하고 없는 죄를 만들어 가둔다. 검투사처럼 상대방을 죽여야 자신이 산다고 생각한다.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Aphrodite)는 케스토스 히마스(Kestos Himas)라는 마법의 허리띠로 어떤 남자라도 유혹할 수 있었다. 그 허리띠는 부끄러움이다. 부끄러움은 매력이고 아름다움이다. 부끄러움을 모르는 정치인을 믿고 나라를 맡길 수 있는가. 지식이 부족해서 사회가 불안한가.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이 되는 일은 인간다움을 유지하는 중요한 일이다. 
 
한동안 인간답다는 것이 무엇일까를 고민해본 기억이 있다. 부끄러움을 안다는 것은 인간다움을 회복한다는 것이다. 전에는 부모들이 부끄러움을 가르쳤다. 이제 어디서도 부끄러움을 가르치지 않는다. ‘모처럼 찾아온 부끄러움이 나만의 것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는 것은 교육자들이 되새겨야 할 인간교육의 사명이다. 
 
사람다운 사람을 키우는 것이 교육이라면 모름지기 양심과 연민과 공감을 깨워야 한다. 잠들어 있는 부끄러움을 깨워야 한다. 부끄러움은 모두에게 있다. 교육이 할 일은 그것을 흔들어 깨우는 것이다. 
 

김홍제2.jpg

▣ 김홍제
◇ 충청남도교육청학생교육문화원 예술진흥부장

전체댓글 0

  • 9616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홍제의 목요칼럼] 부끄러움을 아는 교육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