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7(토)
 
[교육연합신문=육우균 칼럼] 
수화기제괘는 64괘 중 가장 음양의 위치가 바르고 서로 호응하는 상태를 갖춘 이상적인 괘다. 기제(旣濟)는 ‘이미 성취하였다’는 뜻이다. 성취한 것을 그 상태로 유지하는데 힘쓰고 있는 시기를 표현한다. 모든 것이 흐뭇하고 만족한 상태에 있다. 이러한 가득찬 상태는 오래 지속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균형을 유지하도록 크게 힘써야 한다. 현상 유지는 전진하는 것보다 더욱 힘드는 일, 교만하거나 해이하는 일이 없어야 행운을 유지할 수 있다. 새로운 일에 착수하거나, 더 큰 성공에 욕심을 부리면 크게 전락할 위험이 있다. 현재의 일을 그대로 한결같이 계속하라.고 『주역』에는 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 삶의 성취를 되돌아보면 기제(旣濟)는 종종 하찮은 느낌이 들곤 한다. ‘내가 이걸 이루려고 젊을 때 그렇게 노력했나’하는 허망함이 밀려온다. 김국환의 노래 「타타타」를 보자. ”산다는 건 좋은 거지/수지맞는 장사잖소./알몸으로 태어나서 옷 한 벌은 건졌잖소./우리네 헛짚는 인생살이/한세상 걱정조차 없이 살면 무슨 재미/그런 게 덤이잖소.“ 결국 우리가 힘들게 버텨온 한평생이 따지고 보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알몸으로 태어나 옷 한 벌 입고 가는 것이다. 삶은 부질없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은나라 탕왕은 자신의 청동거울에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을 새겨 놓아 나날이 새롭게 태어남을 기뻐했다. 
 
이렇게 허무한 인생에서 우리는 백석의 「흰 바람벽이 있어」에 있는 싯구에서 위안을 찾아야 한다. 시인은 어느 날 저녁 자신이 머물고 있는 좁은 방에서 외로움과 쓸쓸함에 잠겨 있다. 희미한 전등의 지친듯한 불빛과 그 아래 걸린 낡은 셔츠의 피곤한 그림자가 시인 자신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이렇게 외로움에 잠겨 있는 시인의 눈앞, 바람막이로 친 흰 벽 위에, 마치 스크린에 영상이 지나가듯 그리운 사람들의 모습이 떠오른다. 그의 가난하고 늙은 어머니와 이제는 남의 아내가 된 사랑하는 여인의 모습이. 추운 겨울날 차가운 물에 무와 배추를 씻고 있을 늙은 어머니의 가난하고 고달픈 삶을 떠올리며, 시인은 자신의 불효를 생각하고 회한과 아픔에 젖는다. 그리고 그의 ‘사랑하는 어여쁜 사람’이 어느 포구 마을의 집에서 남편과 아이와 함께 저녁을 먹고 있을 모습을 떠올리며 쓸쓸함과 외로움을 곱씹는 것이다. 모든 것을 잃어버린 자신의 삶 앞에서, 시인은 자신의 드높은 운명을 생각하며 애써 스스로를 위로한다. “나는 이 세상에서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살아가도록 태어났다.”는 것이다. 자신의 외롭고 가난하고 쓸쓸한 삶은, 높은 것을 지향하며 이루고 살도록 하려는 하늘의 뜻에 따른 것이라 생각해 보는 것이다. 프란시스 잼과 도연명, 라이너 마리아 릴케 같은 시인이 쓸쓸하고 외롭게 살아갔듯이, 하늘이 가장 사랑하는 이들을 그렇게 가난과 외로움, 쓸쓸함 속에서 사랑과 슬픔을 느끼며 살아가게 했듯이 말이다. 인생의 허무함을 느낄 때 이 구절을 묵상해보자. 위로의 원천이 된다. “하늘이 이 세상을 내일 적에 그가 가장 귀해하고 사랑하는 것들은 모두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하니 그리고 언제나 넘치는 사랑과 슬픔 속에 살도록 만드신 것이다.” 허망했던 마음이 눈 녹듯 풀어진다. 전문을 읽어볼수록 백석의 절창 중 한 편이라 할 수 있다. 빼어난 명작이다. 
 
우리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 잠재력을 계발하는데 온 힘을 써야 한다. 결국 인생은 잠재력의 실현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그 잠재력의 실현 후에는 허무함, 허망함이 찾아오기에 우리는 다시 시작해야 한다. 따라서 기제는 미제로 가는 노정이라 할 수 있다. 
 
「대상전」에 수화기제괘를 보면 ‘물이 불 위에 있는 모습이다. 물이 불 위에 있으면 물은 불을 꺼트린다. 군자는 그런 일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방지한다.’고 되어 있다. 수화기제(水火旣濟)의 ‘기제(旣濟)’는 ‘이미 끝났다’, ‘이미 넘어갔다’, ‘이미 건넜다’, ‘개울을 건넌다’는 의미다. 생명의 완성을 의미한다. 불이 밑에서 물을 끓일 수 있고, 물은 아래로 불을 제어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기제는 생명의 완성인 동시에 생명의 쇠락이다. 물과 불이 각기 자기의 위치를 지니고 있어서 서로 잘 교섭할 수 있고 또 서로에게 쓰임이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지점에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 건물을 세우는 사람들은 그 일에 몇 년이라는 세월을 바치기도 하지만, 결국 언젠가는 그 일을 끝내게 된다. 그리고 그 일을 마치는 순간, 그는 자신이 쌓아올린 벽 안에 갇히게 된다. 건물을 세우는 일이 끝나면 그 삶은 의미를 잃게 되는 것이다.(파울로 코엘료의 소설 『브리다』 참조) 
 
미완성이 좋은 것이다. 우리말에 ‘거의’란 말이 있다. “밥이 거의 다 됐어!”, 혹은 “거의 다 왔어”라고 말한다. ‘거의’란 말은 기제로 향하는 길의 막바지를 뜻한다. 그래서 이 낱말을 좋아한다. 목적지에 도달하기 직전의 과정, ‘거의’의 과정에 도달했을 때 기쁨과 즐거움은 절정에 오른다. 목적지에 도달하면 기쁨이나 즐거움도 그 과정에 비해 반감된다. 완성 직전. 화룡점정(畵龍點睛)의 점 하나 찍기 직전의 기쁨과 짜릿함, 그 비어 있는 마지막 공간이 있을 때, 삶은 새벽별처럼 빛나는 것이다. 화룡점정하는 순간, 즉 완성이 이루어지는 순간 그 과정에서 느끼는 기쁨과 짜릿함은 사라지고 만다. 그래서 수화기제괘의 효사 95를 보면 ‘하느님은 완전보다 불완전, 완성보다 미완성을 사랑하신다’고 되어 있다. 또 효사 64에도 ‘완성의 길에는 항상 위험의 씨앗이 도사리고 있다’고 경계하고 있다. 
 
기제는 처음에는 길하지만 끝은 어지럽다. 완성은 비극이다. 완성은 일종(一終)일 뿐이다. 미완성을 성취하라. 기제는 미제로 가는 노정이다. 

 

육우균.jpg

▣ 육우균

◇ 교육연합신문 주필

전체댓글 0

  • 9843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육우균의 周易산책] 기제는 미제로 가는 노정이다(수화기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