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7(토)
 
[교육연합신문=육우균 칼럼] 
「대상전」에 지천태괘를 보면 ‘하늘과 땅이 서로 자리를 바꾸어 교섭하는 소통의 모습이다. 천지가 소통(교태)함으로써 보통 사람들의 삶이 풍족해지도록 만든다.’고 되어 있다. 음은 가라앉고 양은 올라가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땅은 무거워 가라앉고, 하늘은 가벼워 떠오른다. 그런데 지천태괘의 자리를 보면 땅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려 하고, 하늘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려는 접점에 있는 모습이다. 서로 도와 화합하는 모습이다. 즉 하늘과 땅이 서로 만나면 만물이 생성되고 세상이 태평하게 된다. 자연과 문명의 상생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64괘 중 가장 이상적인 괘라 할 수 있다. 갑진년 새해 벽두 지천태괘로 시작한다. 
 
얼마 전 뉴스에서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보다 조금 더 기울어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자전축 때문에 사계절이 생기는데, 최근 연구에 의하면 자전축이 더 기울어진 원인이 바로 70억 인간들이 지하수를 마구 퍼내어 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자연 파괴의 모든 원인은 인간에게 있다. 언제부터 지구라는 행성을 인간이 독점해도 된다고 했는가? 걷는 발자국 위에 개미가 한 마리 지나갈 때 무슨 생각이 드나? 이 땅은 인간만이 생활할 수 있는 곳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이 지구는 이 땅에 사는 모든 생물의 공유지다. 어떻게 인간만이 지구의 회전축이 될 수 있겠는가. 자연의 자원을 인간 마음대로 쓰다 보니 자연이 황폐화되고 결국에는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보다 더 기울어지는 사태까지 왔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최근 소설인 『꿀벌의 예언』에도 “꿀벌이 지구상에서 사라지는 순간 인간에게 남은 시간은 4년뿐이다.”라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말을 인용하고 있다. 니체가 “신은 죽었다”고 선언한 뒤 중세가 끝나고 근대가 시작되었다. 신본주의에서 인본주의가 되었다. 이제는 인간이 신이 되는 호모 데우스의 시대다. 이 시대에 지구는 망가져 가고 있다. 지구는 인간의 것이 아니다. 지구의 자원을 잠시 빌려 쓰는 것이다. 빌리고 내려놓는 찰나의 순간인 우리의 삶처럼 존재의 순환성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생의 선순환이 되느냐 파괴의 악순환이 되느냐 하는 중요한 시대에 당대를살고 있는 우리의 몫이 우리가 남기는 유산이 결정된다. 
 
‘지천태(地天泰)’의 ‘태(泰)’ 는 ‘태평’, ‘평화’를 의미한다. 도올에 의하면 하늘이 위에 있고, 땅이 아래에 있는 것은 해부학적 사실이고, 땅이 하늘의 자리에 있고 하늘이 땅의 자리로 내려가 있는 것은 생리학적 진실이라면서 우리 생명의 생존 자체가 ‘다름’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는 탁견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는 것도 중력에 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에너지가 든다. 하늘이 땅의 자리에 있고 땅이 하늘의 자리에 있을 때만, 즉 지천태의 모습이 되어야만, 이 다름을 화해하려는 음양의 화합이 일어나게 된다. 생명은 무차별한 평등이 아니라 다름의 조화다. 작게 가고 크게 온다는 ‘소왕대래(小往大來)’는 조화로운 존재를 약속하는 장엄한 화해인 지천태의 모습을 담고 있다. 
 
흥미롭게도 할레드 호세이니의 장편소설 『연을 쫓는 아이』는 지천태의 정신을 유난히 잘 담아내고 있다. 이 소설은 1970년대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1990년대 탈레반의 부상을 배경으로 한다. 또한 주인공 아미르의 여정이 펼쳐지며 인간관계와 연민의 심오한 영향을 강조한다. 
 
이 이야기는 갈등이 개인, 가족, 공동체에 미치는 파괴적인 결과를 탐구하며, 궁극적으로 용서의 변혁적인 힘과 인간 존엄성의 회복을 강조한다. 이러한 주제에 대한 탐구를 통해 소설은 공감과 이해가 보다 평화로운 세상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아미르와 그의 친구 하산의 관계는 인간관계와 연민이 어떻게 인종, 종교, 국적의 장벽을 초월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평화는 다름의 조화"라는 표현은 현대적 맥락에서 해석한다면, 사람들이 서로 다른 생각, 신념, 의견을 분별할 수 있지만 여전히 조화롭게 함께 사는 방법을 찾을 때 진정한 평화가 달성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여기서 차별은 부정적이거나 편견이 있는 행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관점과 관점을 구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평화는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고 인정하며 공통의 기반과 이해를 찾기 위해 노력할 때에만 달성될 수 있다. 민주주의는 서로 다른 색깔의 옷을 입고 평화라는 같은 길을 가는 사람들의 모임이라 생각한다. 소랍의 엷은 미소나, 아미르의 환한 미소처럼 이 소설은 서로의 미소를 이해하는 것이 평화의 보물창고를 여는 심오한 열쇠임을 우리에게 가르쳐준다. 현대 고전이 된 이 놀라운 소설은 마음을 열고, 마음이 국경을 넘어 통합할 때 펼쳐지는 무한한 잠재력을 숙고하도록 손짓하며, 우리가 공유하는 인류의 실에서 조화가 짜여지는 미래를 예고한다. 이 소설의 마지막 장면인 소랍의 엷은 미소든, 아미르의 환한 미소든, 그 미소를 서로 바라볼 줄 아는 자세가 더소중하다. 소통은 마음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벽이 없는 마음, 벽을 넘어서는 마음에서 진정한 소통은 이루어진다. 진정한 평화는 그렇게 찾아온다. 
 
1988년 서울 올림픽 공식 로고송으로 코리아나가 부른 「손에 손 잡고」는 이런 지천태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전체 가사 중 “손에 손 잡고 벽을 넘어서”란 구절이 지천태와 딱 맞는 말이다. 손에 손을 잡고 자신의 고정 관념을 버리고, 분별심을 버리면 평화는 다름의 조화가 되고 오해의 벽, 분별심의 벽을 넘게 된다. 서로의 손을 잡을 때 공감이 더욱 커지고 벽이 무너지고 지속적인 평화가 정당한 자리를 찾는 세상을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잠깐! 샛길로. 『연을 쫓는 아이』의 주인공 아미르의 여정을 따라가며 지천태의 효사를 풀어보자. 지(地)의 자리다. 이 소설에서 아미르와 그의 친구 하산은 인간관계와 연민이 어떻게 인종, 종교, 국적의 장벽을 초월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아프가니스탄에서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난 아미르(Amir)는 하인인 하산(Hassan)과 함께 형제처럼 자란다. 태어난 순간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의 사랑을 많이 받진 못했지만 그는 하산과 함께 책을 읽고 놀이를 하며 비교적 즐겁게 어린 시절을 보낸다. 효사(초9)와 같이 뿌리가 뒤엉켜 있는 모습이다. 
 
인(人)의 자리다. 어느 날 언덕으로 놀러가는 아미르와 하산을 불량배 아세프 일당이 막아서고 하산의 새총 덕에 두 사람은 위기를 모면한다. 연싸움 대회에서 우승함으로써 아버지의 사랑과 인정을 받고 싶었던 아미르는 마침내 대회에서 우승하고 하산은 마지막으로 잘린 연을 쫓아 달려간다. 하산을 찾아나선 아미르는 하산이 아세프 일당에게 붙잡혀서 성폭행당하는 모습을 목격하지만 겁이 나서 나서질 못하고 골목에 숨어버린다. 그후 하산을 보기 괴로운 아미르는 하산을 도둑으로 몰아서 결국 집에서 내쫓아버린다. 효사(93)처럼 태평하던 국면이 기울어진 것이다. 소설가로 성공한 아미르에게 아버지의 친구이자 아미르의 어릴적 정신적 지주였던 라힘 칸이 전화를 걸어온다. 파키스탄으로 라힘 칸을 찾아간 아미르는 라힘 칸에게서 하산이 이복동생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자신이 하산의 진짜 아버지이며 아미르와 하산이 형제 사이라는 사실을 밝히지 않은 채 평생을 산 아버지의 죄와 어린 시절 하산을 구하지 못한 자신의 비겁함을 속죄한다. 효사(93)의 내면의 성실함을 다하는 아미르의 모습이다. 아미르는 탈레반에게 처형당한 하산의 아들 소랍을 구하러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효사(94)의 모습이다. 이상을 향해 날개를 펄럭이는 모습이다. 성실한 아미르의 속죄의 씻음이다. 그래서 어린 시절 하산에게 진 마음의 빚을 해결한다. 소랍을 파키스탄으로 피신시킨다. 이윽고 아미르는 소랍을 미국으로 입양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천(天)의 자리다. 미국으로 온 소랍은 실어증 증세를 보이며 감정적 반응을 전혀 표현하지 않는다. 어느 날 공원에서 소랍과 함께 연싸움을 하게 된 아미르는 처음으로 소랍의 눈에서 생기를 발견하고 그를 위해 연을 쫓아 달려간다. 효사(상6)의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것이다. 그 옛날 아버지의 사랑과 인정을 받고 싶었던 아미르가 연싸움 대회에서 우승하고, 잘린 연을 쫓아 달려갔던 하산의 순수했던 표정이 오버랩되는 것은 필자만의 감정일까.

 

육우균.jpg

▣ 육우균

◇ 교육연합신문 주필

전체댓글 0

  • 8658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육우균의 周易산책] '연을 쫓는 아이'에게서 '지천태'의 모습을 본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