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7(토)
 
[교육연합신문=육우균 칼럼] 
복(復)은 인간의 삶에서 빠져서는 안 될 중요한 개념이다. 지뢰복은 천지의 마음이며, 우리는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가는 순간에 진정한 복과 희망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은 우리가 어려움을 극복하고 더 나은 삶을 찾아가는 여정에서 우리를 지지하고 격려할 수 있는 소중한 메시지다. 
 
대상전에 지뢰복을 보면 ‘우레가 땅 속에서 양의 기운을 뽐내는 모양으로, 음으로 가득한 겨울에, 해가 가장 짧은 날(동지)이 되면 집 밖으로 나가지 않고 조용히 집에서 쉰다. 정무를 보지 않고 지방을 순시하지도 않는다.’고 되어 있다. 지뢰복(地雷復)의 ‘복(復)’은 풀무질할 때 발로 밟는 골풀무를 본뜬 것이다. 중간에 가름대 같은 장치가 앞뒤로 왔다 갔다 하므로 ‘돌아가다(오다)’라는 뜻이 된다. 왕복하며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가곤 해서 복(復)에는 ‘회복하다’, ‘다시’라는 의미를 갖는다. 
 
회복한다는 것. 탄력성, 구부려서 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경계점, 이것을 임계점, 혹은 항복점이라도 한다. 사람 사이의 관계는 이 임계점, 항복점 직전까지의 경계선에 있어야 한다. 그 경계선을 넘으면 사람 사이의 관계는 깨진다. 이어 소송으로 나가야 한다. ‘회복 불가능성’에 이르진 말아야 한다. 보자기를 묶을 때 너무 꽉 묶어 풀 때 힘들이지 말고 쉽게 풀어지게 묶어야 잘 묶는 것이다. 사람 사이의 관계도 그렇다. 다시 원래대로 회복될 수 있게, 그래서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게 관계 맺음을 해야 한다. 
 
생명의 봄이 피어나고 있다. 희망의 노래가 만방에서 들려온다. 지뢰복괘의 효를 보면 5음 1양이다. 음의 세력이 가득한 가운데 양의 세력이 돌아오는 터닝 포인트의 복괘는 죽음을 뚫고 생명이 다시 피어나는 나무, 백설 속의 매화꽃 봉오리, 갓난아기의 생명력을 상징한다. 군자괘의 시작괘다. 길(吉)한 괘다. 
 
지뢰복괘와 유사한 삶이란 절망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은 삶을 산 사람들일 것이다. 미술 분야로는 프리다 칼로, 음악 분야로는 베토벤, 문학 분야로는 『로드』라는 작품 속 아버지와 아들을 뽑을 수 있다. 
 
프리다 칼로는 1907년 헝가리계 유대인 아버지와 스페인 혈통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화가다. 그녀의 삶을 들여다보면 강인한 정신과 의지가 없었다면 이어갈 수 없을 절망의 연속이었다. 소아마비를 앓다 다리가 가늘어져 주변 사람들로부터 놀림을 받고, 통학버스가 사고가 나서 하반신이 마비됐고, 35번의 수술로 자궁 손상이 와 불임과 유산의 부자유스런 몸이 됐고, 남편의 친동생과의 외도 등을 목격하면서도 미술 활동을 하며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나중에 폐렴으로 사망(47세)했고, 멕시코에선 그녀의 작품을 국보로 지정했다. 그녀의 마지막 일기에 “이 외출이 행복이기를, 그리고 다시 돌아오지 않기를”이라고 적혀 있다. 
 
베토벤은 「전원교향곡」, 「합창교향곡」 등 명불허전의 작품을 작곡했는데, 이 작품을 작곡할 때 이미 청력을 잃었다. 음악가가 청각을 상실한다는 것은 하늘이 무너져 내리는 아픔이었을 것이다. 그런 아픔을 극복하고 아름다운 선율을 우리에게 선물한 그의 희망은 무엇으로도 바꿀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과연 악성(樂聖)이다. 베토벤과 모차르트를 비교할 순 없겠지만 자신의 아픔(음악가로서 가장 치명적인 역린)을 극복한 베토벤에게 마음이 가는 것은 필자만의 생각일까. 
 
『로드』는 2007년 퓰리처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이 소설은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대재앙이 일어난 지구, 문명은 파괴되었다. 지구의 거의 모든 생명은 멸종했다. 세상은 잿빛이다. 불에 탄 세상은 온통 재로 뒤덮였다. 무채색의 황폐하고 고요한 땅. 신은 사라지고 신을 열렬히 찬미하던 이들도 사라진 땅. 그곳에 아버지와 어린 아들이 길을 걷는다. 남쪽을 향해 가고 있다. 그들에게는, 생활에 필요한 얼마 안 되는 물품들을 담은 카트와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 자살용으로 남겨둔 총탄 두 알이 든 권총 한 자루가 전부다. 아버지와 아들은 밤마다 추위에 떨었다. 거의 매일 굶주렸다. 식량은 늘 부족했다. 숲에 만드는 잠자리는 춥고 불안했다. 수일을 굶다가 운 좋게 먹을거리를 만나면 그들은 주린 배와 카트를 채운다. 아버지와 아들은 혹독한 날씨, 식량과 물 부족, 다른 생존자들의 공격 등 수많은 도전에 직면한다. 아버지는 또한 자신의 절망감과 씨름하며 때때로 그들이 안전과 안정을 찾을 수 있을지 의문을 갖는다. 결국 아버지는 중병에 걸려 세상을 떠난다. 아들은 홀로 여행을 계속한다. 소설은 아들이 그를 데려가겠다고 제안하는 다른 가족을 만나 독자에게 그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주는 것으로 끝난다. 인간의 최악을 보고 경험한 아버지는 여전히 인간의 선함을 믿는다. 이 믿음을 아들에게 심어주려 한다. 아들은 더 나은 미래, 과거의 죽음과 파괴 이후 다시 생명이 피어날 수 있는 미래에 대한 희망을 꿈꾼다. 이처럼 『로드』(The Road)는 가장 어두운 시대에도 여전히 삶의 가능성과 희망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을 둘러싼 황폐함에도 불구하고 아버지와 아들은 여전히 살아갈 가치가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간다. 궁극적으로 이 소설은 죽음을 통한 생명의 부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낡은 세계의 잿더미를 통해서만 새롭고 더 나은 세계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프리다 칼로도, 베토벤도, 아버지와 아들도 모두 항복점, 임계점까지만 고통스러웠다. 그리고 이를 극복했다. 신은 인간이 버틸 수 있는 만큼의 고통을 주신다. 항복점, 임계점에 도달하기 직전까지만 고통을 주어 그것을 극복하라고 하신다. 왜?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라고. 회복하라고. 
 
시인과 촌장의 노래 「풍경」에 실린 가사다. “세상 풍경 중에서 제일 아름다운 풍경/모든 것들이 제자리로 돌아가는 풍경” 지뢰복을 단적으로 말해 주는 가사다. 세상 풍경 중에서 제일 아름다운 풍경은 모든 것들이 제자리로 돌아가는 풍경이다. 뒤틀린 것들 모두 다시 되돌아가는 것, 그래서 원래의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 이것이 하느님의 뜻이다. 지뢰복은 천지의 마음이다. 모든 것들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모습이다. 아름답다. 
 
지뢰복의 ‘복(復)’은 ‘회복한다’는 뜻이다. 이것을 회복할 수 있는 단계까지가 임계점, 항복점이라 한다. 회복 불가능성에 이르진 말아야 한다. 인생을 망치게 된다. 
 
임계점(항복점)을 넘어서면 제자리로 돌아가지 않는다. 다시 건강한 젊음을 되찾을 수 없게 된다. 그 임계점을 본인이 잘 살펴야 한다. 본인의 건강은 본인에게만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본인 주변의 가까운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끼친다. 
 
임계점을 넘어서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지뢰복괘의 효사 초구에 “불원복(不遠復)이면 무지회(无祗悔)니 원길(元吉)하리라.”고 되어 있다. ‘멀리 가지 않고 돌아오면 후회함에 이르지 않을 것이니, 크게 길하다’라는 뜻이다. 성리학을 완성한 주자도 ‘불원복(不遠復)’ 세 글자를 삼자부(三字符)로 삼아 허리에 차고 다녔다고 한다.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 보는데 썼다는 중요한 글자다. 멀리 가지 않고 돌아오면 되는 것이다. 나쁜 짓을 해도 그것을 후회하고 바로 제자리로 돌아오면 된다. 다시 되돌아올 수 없는 길로 너무 먼 길을 가는 사람들이 대개 스스로 명을 재촉한다. 제자리로 돌아올 수 없는 먼 길을 가지 마라. 해롭다. ‘불원복(不遠復)! 언제나 회복 가능성, 탄력성을 지녀야 한다. 발전적 탄력성을 지닐 때 양자 도약처럼 인생은 도약할 수 있다.
 

육우균.jpg

▣ 육우균
◇ 교육연합신문 주필
 

전체댓글 0

  • 5024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육우균의 周易산책] 복(復) - 천지의 마음(지뢰복)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