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9(월)
 
[교육연합신문=육우균 칼럼] 
하늘과 땅 사이에 있는 공간이 이 세상이다. ‘천지간’이다. 삼라만상은 하늘과 땅의 사이를 떠나서 그 어떤 개념도 존재할 수가 없다. 그 천과 지 사이에 최초로 등장하는 생물이 바로 새싹이다. 새싹은 우주다. 
 
대상전에 수뢰준괘를 보면 ‘구름이 위에 있고 그 밑에서 우레가 치는 모습’이다. 이는 마른 번개, 헛천둥이다. 만물의 탄생이 어렵다는 것을 말한다. 하늘과 땅이 만나 즉 강(强과) 유(柔)가 만나 교합하여 생명을 잉태시키는 것이다. 수뢰준의 ‘준(屯)’은 ‘一 + 屮 +丿’의 합한 글자다. 뜻은 (땅이 비스듬히 있는 데)에 + (새싹이) + (뿌리를 내리는) 모양으로 이처럼 ‘탄생의 어려움’, ‘시작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괘이다. 하늘과 땅이 첫 무대를 펼치고 사방은 어둡다. 그 어두움을 뚫고 무대 조명이 가냘픈 새싹을 비춘다. 새싹은 스스로를 덮고 있는 흙덩이를 밀치고 올라온다. 봄. 만물이 소생하는 아름다운 계절이다. 그러나 새싹이 자라서 꽃을 피우는 것은 우주의 탄생만큼이나 힘들고 절실한 일이다. 자기가 가진 모든 에너지를 꽃을 피우는데 쏟아붓는 행위다. 마치 산모가 아기를 낳듯 기진맥진한 상태일 것이다. 
 
꽃이 피는 어려움을 잘 나타내 주는 시가 있다. 바로 이호우의 현대시조인 「개화」다. 짤막하니까 전문을 보자.

「꽃이 피네 한 잎 한 잎
한 하늘이 열리고 있네.
마침내 남은 한 잎이
마지막 떨고 있는 고비.
바람도 햇볕도 숨을 죽이네.
나도 가만 눈을 감네.」

개화(開花)란 순수 우리말로 ‘꽃 피다’이다. 한자어 ‘개화’라는 말보다 ‘꽃 피다’처럼 순수 우리말이 훨씬 본질에 가깝게 다가온다. 태어나는 것은 우주를 품에 안는 것이다. 꽃 피는 것은 한 하늘을 열어서 한 세상을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싹은 우주다. 특히 중장의 ‘마지막’ (꽃 송이 한 잎을 피기 위해) ‘떨고 있는 고비’는 바로 수뢰준괘의 ‘탄생의 힘듦’, ‘시작의 어려움’을 말하고 있다. 
 
외국시 중에서 이 수뢰준괘를 나타내는 시는 T.S. 엘리엇의 「황무지」다. 엘리엇의 「황무지」 전체 5부 중 1부 ‘죽은 자의 매장’ 중에 ‘사월은 잔인한 달’이라 하면서 봄의 잔인함, 새싹이 나무로 자라는 과정의 어려움 등을 말하면서 오히려 겨울이 따뜻하고 좋았다는 역설을 보여주고 있다. 
 
‘시작의 어려움’에 대해 필자의 개인적인 경험을 말해보려 한다. 필자는 턱걸이를 지금은 1회에 10개 정도 하는데, 처음에는 한 개 하기도 어려워 ‘제발 한 개만 턱걸이를 할 수 있다면 소원이 없겠다’고 생각하면서 노래를 하고 다닌 적이 있었다. 그 후로 턱걸이 한 개 하는 게 인생의 목표가 되어버렸다. 턱걸이를 해 본 사람은 알 것이다. 한 개가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을. 자기의 몸무게를 중력으로부터 들어 올리는 일이다. 우선 팔의 힘을 기르기 위해 푸시업(팔굽혀 펴기)을 꾸준히 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는 어깨 힘을 기르기 위해 운동용 고무줄을 사서 철봉대에 묶고 한쪽 발을 그 고무줄에 걸고 턱걸이를 한다. 익숙해진 다음에는 운동용 고무줄을 풀고, 맨손으로 철봉대를 잡고 해 본다. 안 된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팔굽혀 펴기부터 반복한다. 이렇게 계속 반복, 반복, 반복해야 한다. 그래서 겨우 턱걸이 한 개를 마치면 그 기쁨에 소리를 지르면서 펄쩍펄쩍 뛰어다닌다. 훈련소에 입소하여 기초군사훈련을 마치고 이등병 계급장을 받아 든 심정처럼. 그 다음부터 일등병, 상등병, 병장 계급장을 달 듯이 턱걸이를 2개, 3개……. 이렇게 차례로 턱걸이 수를 늘려가면 된다. 
 
뭐든지 처음이 어렵고 힘들지, 겪고 나면 나머지는 비교적 쉽다. 그러므로 뭐든지 처음 시작할 때 온 에너지를 다 써야 한다. 꽃을 피우는 일도 마찬가지다. 식물이 처음 꽃을 피울 때 온 힘을 다한다. 「개화」에서도 “마지막 떨고 있는 고비”라 했다. 우리가 인생을 살면서 처음 경험하는 일들이 힘들지, 그 다음부터는 쉽게 적응해 가지 않던가. 그래서 우리는 자기가 경험하지 못한 경험을 한 사람에게 존경심을 갖게 되는 것은 아닐까. 최초로 에베레스트를 정복한 사람은 에드먼드 힐러리경이라 기록되어 있다. 물론 그보다 앞서 에베레스트를 3번이나 등반하다 에베레스트에 묻힌 사라진 맬러리도 기억해야 한다. "왜 굳이 에베레스트에 오르고 싶냐"는 기자의 질문에 "산이 거기 있기 때문이다"라고 한 맬러리의 유명한 말은 지금도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 역사에 기록되어 있는 사람만 기억하지 말자. 역사를 만든 사람과 문명과 문화를 만든 사람들은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일반 평민들이다. 기록되어 있지 않은 사람도 그만의 우주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꽃에는 하나의 우주가 있다. 우리가 눈을 감으면 우리의 우주도 사라진다. 눈을 뜨면 나만의 우주가 존재한다. 우리는 모두 각각의 우주를 안고 산다. 혹자는 ‘내가 죽어도 우주는 존재하지 않는가?’하고 반문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우주는 내 우주가 아니다. 왜? 내가 죽었으니까. 죽음의 의미를 가만히 생각해보라. 내가 살아 있기 때문에 이 우주가 존재하는 것 아닌가? 나 자신이 있음으로 해서 부모가 있는 것이다. ‘부모가 있으니까 내가 존재하는 것 아닌가?’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부모도 형제도 친구도 없다. 이 세상의 중심은 나다. 나만의 우주가 있는 것이다. 땅 속 어둠을 뚫고 세상에 나온 새싹은 자기만의 우주를 길러낸다. 
 
탄생과 출발의 어려움은 단단한 알을 깨는 과정에 비유할 수 있다. ‘새는 알을 깨고 나오려고 싸운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해야 한다. 새는 신에게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이다.’ 헤르만 헤세의 성장 소설 『데미안』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이다. 새가 알껍데기에서 부화하기 위해 줄탁동시(啐啄同時)하고, 식물이 흙을 헤쳐나가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처럼, 새로운 것을 시작하는 행위는 매우 어렵고 도전적인 과정이 될 수 있다. 발전을 가로막는 장벽을 극복하려면 엄청난 힘, 결단력, 인내가 필요하다. 
  『데미안』에서 주인공 싱클레어는 가정에서 어머니의 무조건적이고 따뜻한 사랑을 받으며 산다. 언제나 화목한 이 독실한 크리스트교 가정은 존재 양식적 삶을 대변하고 있다. 반면에 싱클레어가 사회에서 접하게 되는 아이인 크로머는 소유 양식적 삶을 살고 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싱클레어가 사과를 훔쳤다고 거짓말한 것을 빌미로 싱클레어를 협박하고 돈을 갈취한다. 자신의 이익만을 고려하는 이기주의적이고 모든 것을 가지려고 하는 소유 양식적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현대사회도 기계문명 아래 오로지 성장과 발전만을 목표로 자연과의 생태학적 관계나 다른 구성원과의 유대는 고려하지 않으며 달려나가고 있다. 
 
껍질을 깨기 위한 몸부림처럼 탄생이나 시작의 과정은 불편함, 고통, 불확실성을 수반할 수 있지만 최종 결과는 종종 아름다운 경험으로 끝난다. 껍질을 깨는 은유는 도전을 극복하고 성공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회복력과 끈기뿐만 아니라 새로운 도전을 받아들임으로써 오는 성장과 변화의 잠재력을 포착한다. 
 
인간은 탄생과 함께 시작의 어려움과 마주한다. 아니, 사실 탄생 이전의 무명 단계부터 힘들었다. 어떤 것이 우리를 기다리는지, 어떤 세상에서 살아가야 하는지 모른 채 두려움과 초조함 속에 태어나기 때문이다. 우리는 삶의 여정에서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해야 한다. 
 
수뢰준괘는 마른 번개요, 헛천둥이다. 고난의 시작이지만 새로운 질서를 만들기에 아주 좋은 기회다. 그래서 『주역』은 이때가 경륜을 펼칠 시기라 했다. 경륜에서 ‘경(經)’이란 날실을, ‘륜(綸)’이란 씨실을 말한다. 그래서 날실과 씨실이 서로 잘 짜여지는 것 즉 세상의 틀을 짜는 것을 의미한다. 생명의 실을 엮는 시간이다. 따라서 알을 깨고 나온 새끼 때부터 경륜을 펴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에서 또 다른 주인공 크로머의 소유 양식적 삶이 아닌 주인공 싱클레어의 존재 양식적 삶을 살 수 있도록 세상의 틀을 잘 짜야만 한다. 
 
생명의 탄력성은 출생과 성장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능력에 있다. 새싹이 땅을 뚫고 새가 알에서 깨어나듯이, 우리는 벽을 뚫고 시작의 어려움을 받아들이고 우리만의 우주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도전에 직면함으로써 우리는 존재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의미 있고 진정한 삶의 여정을 만들 수 있다. 어둠과 불확실성을 받아들이자. 그 순간 우리의 진정한 빛이 가장 밝게 빛난다.


육우균.jpg

▣ 육우균

◇ 교육연합신문 주필

전체댓글 0

  • 8360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육우균의 周易산책] 새싹은 우주다(수뢰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