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6(금)
 
[교육연합신문=전재학 칼럼] 

전재학2.jpg

현대사회의 특징을 한 마디로 기술(記述)하기는 무모한 시도일 것이다. 왜냐면 현대사는 흥망성쇠로 얼룩진 질곡의 역사이고, 복합적인 이데올로기로 점철된 다양한 사상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그뿐이랴. 현대사엔 영원한 승자도 패자도 없다. 매 순간 인간의 모든 삶의 영역은 빛의 속도와 같이 변화만이 있을 뿐이다. 그러니 어느 한 시기에만 집중하면 이는 곧 편협한 해석으로 이내 한계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사회의 특성을 ‘고체 현대’와 ‘액체 현대’로 구분하여 사상적 접근을 시도한 인물이 있다. 바로 우리 시대의 큰 사상가이자 학자인 지그문트 바우만(Zygmunt Bauman, 1925~2017)이다. 그는 21세기를 한마디로 ‘불안의 시대’라 지칭하고 이를 분석하여 설명하였다. 탐구 정신이 뛰어난 그는 70세가 넘어 ‘액체 현대’ 이론을 발표했다. 그래서 ‘액체 현대’는 바우만의 사상을 대표하는 사회이론으로 고착됐다. 
 
그는 우리가 사는 시대가 지난 20세기 후반에 ‘고체 현대’에서 ‘액체 현대’로 변화했다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양자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고체 현대란 계획적이고 합리적이고 안정적이고 예측이 가능한 사회를 일컫는다. 반면에 액체 현대란 우연적이고 불확실하고 끝없이 변화하고 예측 불가능한 사회를 말한다. 그럼 이러한 액체 현대를 가져온 것은 무엇일까? 
 
바우만은 세 가지 측면을 주목했다. 첫째, 세계화의 진행이다. 세계화를 통해서 우리의 삶은 범지구적인 현상이 됐다. 둘째, 신자유주의의 등장이다. 이는 복지국가가 후퇴하고 일자리 등 우리 삶의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었다. 셋째, 소비의 영향력이다. 우리 생활 전반에서 소비가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우리는 변덕스러운 소비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여기서 우연성, 불확실성, 이동성, 예측 불가능성이 부각되었고 탐색의 집중 대상이 되었다. 
 
그렇다면 바우만의 사상이 던지는 현시대에의 함의(含意)는 무엇인가? 그는 우리 시대가 각자도생, 적자생존, 약육강식의 불안 사회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현실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그는 세 가지 대안을 제시한다. 첫째, 액체 현대사회에 대한 정확한 인식. 둘째, 권력에 대한 정치의 통제력 회복. 셋째, 현실을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회의주의적 태도, 이렇게 세 가지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연대와 경쟁, 자유와 불안이 공존하는 21세기에, 우리 인류가 가야 할 삶의 방향이다. 그가 제시한 것은 자유와 연대를 회생(回生)시키는 것이다. 이는 비관적 현실에 회의적(懷疑的)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마치 철학자 데카르트가 “나는 회의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고 말한 것처럼 말이다. 언뜻 듣기에는 역설적인 것 같지만 결국 의미 있는 삶과 사회의 방향을 모색하는 석학의 제안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우리가 2020년대에 바우만을 계속 만나야 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과거로부터 교육입국(敎育立國)을 지향하며 국가백년대계(百年大計)로서의 교육만이 대한민국의 유일한 희망이자 국가를 지탱하는 원동력이다. 이제 한국 사회는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떤 삶을 지향하는가?’ ‘우리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세계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 여타 질문들을 끊임없이 던져야 한다. 이런 질문을 통해 5천 년 역사 이래 가난을 극복하고 비로소 선진국으로 진입한 우리가 그동안 살아 온 삶을 성찰하고 진정한 한국인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가치와 삶의 자세를 다시금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액체 현대의 지속적인 불안을 극복하는 새로운 표준인 ‘뉴노멀(New Normal)’이라 생각한다. 비 온 뒤에는 땅이 더욱 굳어질 것이다. 이제 역사학자이지 미래학자인 유발 하라리의 주장처럼 ‘변화만이 상수(常數)’인 미래에 우리가 지향해야 할 것은 미래에 적합한 교육만이 확실한 변화의 힘이자 우리의 정체성을 더욱 공고하게 해줄 수단이라 믿는다. 교육은 우리의 희망이자 미래 삶의 좌표이며 생존의 전략이어야 한다.

 

전재학2.jpg

▣ 전재학

◇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 現인천산곡남중학교 교장

◇ 前제물포고, 인천세원고 교감

◇ [수능교과서: 영어영역] 공동저자

◇ 학습지 [노스트라다무스] 집필진

◇ [월간교육평론], [교육과사색] 전문위원 및 교육칼럼니스트

전체댓글 0

  • 7961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재학의 교육칼럼] ‘액체 현대’와 미래 교육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