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7(토)
 

[교육연합신문=김수아 기자]

안양옥 회장은 지난해 7월 한국교총 회장에 취임했다. 회원수 18만7천여명의 국내 최대 교원단체 수장으로, 취임 이후 어느 회장보다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며 교총조직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안 회장은 취임직후부터 소통과 대화를 강조하고 있다. 교과부, 진보교육감, 전교조 등 우리 교육을 이끌어가는 주체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난상토론을 해 보자는 것이다. 안양옥 회장으로부터 우리 교육의 현안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지난해 7월 취임 후 약 9개월이 지났습니다. 취임이후 매우 활발한 활동을 펼치셨습니다. 교총활동에 가장 큰 변화가 있었다면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 무엇보다 외부적인 상황변화에 따라 교총의 위상과 역할이 변화할 수 밖에 없었다는 점을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지난해 6월 지방선거를 통해 서울, 경기, 강원 등 전국 6개 시도에서 진보교육감이 당선됐다는 점이 가장 큰 외부적 변화라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교총의 역할도 더 폭넓게 변화해야 했습니다.
전국 최대의 교원단체로서 각 시도교육청이 추진하는 각종 교육정책에 대해 교원의 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이 더욱 중요해 졌습니다. 다소 침체된 교총 내부의 분위기를 추스르고 교총조직 내부의 소통을 활성화하는데 힘을 쏟았습니다.

 

- 지금까지 교총이 교과부의 정책파트너로서 현장 교원의 입장을 대변하고 교육정책을 선도하기 보다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 초등학교 분회장을 시작으로 수 십 년간 교총구성원으로 일해 왔습니다. 서울시내 600여개 초등학교 중 300여개 학교를 방문할 만큼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왔습니다.
교과부의 정책을 추인하는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담아내는 책임있는 교총, 선도적 교총을 만드는데 역량을 집중할 것입니다. 

 

- 한국교총의 수장으로서 전교조와의 관계설정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장석웅 신임 전교조 위원장이 취임후 교총을 방문해 교원의 정치참여 방안 등을 놓고 대화를 나눴습니다. 취임식에도 교총 대외협력국장을 사절로 보냈습니다. 교총 내부조직도 그렇지만 전교조와의 관계나 교과부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마음을 터놓고 우리 교육 전반을 깊이있게 토론하는 자리가 필요합니다. 언제든 열린마음으로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합니다.

 

- 지난달 내부형 교장공모로 인한 논란으로 교육계 내부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진 것 같습니다. 내부형 교장공모제가 가진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 먼저 밝힐 것은 전교조소속 교사나 평교사도 교장이 될 수 있고 그 점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교단 내부의 변화를 위해 제한적으로 내부형 교장공모제를 실험하는 것도 나름대로 의미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교육의 변화는 점진적이어야 합니다.
아쉽게도 전교조나 진보교육감은 혁신으로 상징되는 급변을 요구합니다. 내부형교장공모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장교사들의 동의가 전제돼야 하며 공정성과 합리성이 담보돼야 합니다.
공정성도 합리성도 모두 잃은 채 기존 교원들의 신뢰이익을 침해하면서까지 변혁만을 강조하는 것은 교육의 본질을 고려할 때 결코 적합하다 할 수 없습니다.
덧붙여 말하자면 '교장공모제'를 주제로 전교조나 진보교육감과 공개토론을 할 의사가 있다는 점을 밝힙니다.  

 

- 많은 교육자들이 '교육의 본질'이란 표현을 씁니다. 알기 쉽게 표현한다면 '교육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 '교사의 역할'이 과연 무엇인가 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학생들의 성적을 오르게 하는 교사가 수업 잘하는 교사는 아닙니다. 교사는 수업전문성과 함께 학생에 대한 통찰력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통찰력이란 개별 학생의 잠재된 능력과 소질을 정확하게 꿰뚫어 볼 수 있는 능력을 뜻합니다.
이점이 교사와 학원강사의 근본적인 차이입니다. 학원강사는 단순히 성적만 오르게 하면 그만이지만 교사는 개별 학생의 미래를 이끌어야 하는 책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업전문성과 학생에 대한 통찰력이 곧 교육의 본질이며 이런 능력을 갖추고 있는 교사가 바로 '수업 잘하는 교사'입니다.

 

- 앞서 전교조 위원장과 교원 정치참여 허용 문제를 놓고 대화를 나눴다고 하셨습니다. 교원의 정치참여에 대한 입장은 무엇입니까?

△ 긍정적으로 검토할 때가 됐다고 봅니다. 그러나 전교조가 요구하는 정치참여와는 방향성이 다릅니다.
역설적으로 들릴지 모르지만 정치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자는 것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더 이상 훼손되는 것을 막자는 취지입니다. 전교조가 학교를 정치투장의 장으로 만드는 현실을 타파하기 위해서라도 교총도 정치적 의사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 4년전 도입된 수석교사제 법제화가 아직도 지연되고 있습니다. '수업 잘하는 교사'를 우대하기 위해서라도 법제화가 시급할 것으로 보입니다.

△ 수업전문성과 학생에 대한 통찰력은 이론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오랜 경험에서 나옵니다. 경륜을 갖춘 '수업 잘하는 교사'를 우대하기 위한 제도가 바로 '수석교사제'인데 여전히 법제화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4월 임시국회에서 수석교사제 관련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입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전교조-진보교육감 맞장토론 하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