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5(목)
 
[교육연합신문=전미경 기고] 

전미경2.jpg

오늘은 클래식 공연 볼 때의 매너에 대해서 얘기해 볼까 한다. 우리나라는 이제 세계에서도 알아주는 클래식 강국이다. 클래식 음악의 본고장에서 열리는 각종 콩쿠르에서 한국의 연주자들이 우승을 거머쥐고 있고, 덕분에 그들의 연주로 코리아라는 이름을 더 알리고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공연을 볼 때 매너는 어떨까? 한국의 클래식 연주자들이 세계의 무대에서 본고장의 연주자들도 감탄할 만큼의 실력을 가진 나라로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더 에티켓을 공부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얼마 전 친구의 공연을 보러 갔을 때의 일이다.  한 악장이 끝날 때마다 내 앞줄에 앉아 계시던 아주머니가 추임새를 넣는 것이었다. 한 악장이 끝나면 "와~ 어떻게 저렇게 잘 연주할 수가 있지?" 또, 한 악장이 끝나면 "어휴~ 저 조그만 체구에서 어떻게 저런 소리를...." 또, 한 악장이 끝나면 "아~ 다리 아프겠다~", "......." 
 
정말 그 아주머니의 추임새는 악장이 끝날 때마다 어김없이 나오는 게 아닌가? 그나마 박수를 칠 타이밍엔 박수소리에 묻혀 안 들렸지만, 그 외엔 정말 조용한 연주회장에 그분의 추임새와 감탄사가 계속해서 내 신경을 건드렸다. 그 장소에 있던 관객 중에 나만 괴로운 건 아니었을 거다. 또 보통 다른 연주회에서도 한 악장이 끝나면 기다렸다는 듯이 여기저기서 기침 소리가 나온다거나, 곡이 다 끝난 게 아닌데 박수를 치는 분들도 종종 있다. 그런 소리들은 연주에 집중해야 할 연주자에게 엄청난 방해를 주는 행동들이다.

자 이쯤에서, 그럼 박수는 언제 치는 게 맞을까?

보통 교향곡은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협주곡이나 소나타는 3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외적인 곡들도 있긴 하지만 보통은 그렇다. 그러니 공연이 시작하기 전에 팸플릿을 먼저 확인하여 각 곡들의 모든 악장이 끝난 뒤에 박수를 치는 것이 맞다. 여기서 또 주의할 것이 있는데 가끔 어떤 곡은 아타카(attacca)로 연결되어 있어서 곡을 모르는 상황에서 곡이 멈춘다는 것만 생각하고 악장을 계산하면 난감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 ‘아타카’란 악장과 악장 사이에 멈춤 없이 바로 연결하여 연주하라는 지시어인데 이렇게 곡이 진행된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면 나 혼자만 박수를 치게 되는 창피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교향곡은 보통 네 개의 악장이 모두 끝난 뒤에, 협주곡이나 소나타는 세 개의 악장이 모두 끝난 뒤에 박수를 치도록 해야 한다. 그래도 언제 박수를 쳐야 할지 잘 모르겠다면 다른 사람들이 모두 칠 때 같이 치도록 하자.

클래식 곡들을 평소에 다양하게 들어서 곡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두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일단 간단하게 악장에 대한 것들만이라도 알아두어서 연주회장에서 망설임 없이 곡이 끝난 뒤에 힘차게 박수를 칠 수 있다면 클래식 음악 감상자의 여유 있는 모습에 훨씬 가까이 다가가 있게 될 것이다.

유럽 여행을 하다 보면 가장 부러웠던 것이 매일매일 일상이 되어 있는 클래식 공연들이었다. 저렴한 가격으로 볼 수 있는 다양하고 소박한 연주들이 동네마다 늘 열린다. 클래식 공연이 거창한 것이 아닌 생활의 일부인 모습. 이제 우리도 생활 속의 그런 모습을 가진 나라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정지되었던 일상이 조금씩 회복되고 있다. 클래식 연주회장에 모일 수 있는 일상 역시 늘어나고 있으니 이제 그런 공간을 직접 찾아가서 다양한 연주들을 생생하게 체험하고 악장과 악장에 대해 더 많은 사람들이 느껴봤으면 좋겠다. 
 

전미경.jpg

▣ 첼리스트 전미경
◇ 가천대 관현악과 졸업 (첼로전공)
◇ 서울 로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부수석 역임
◇ 금천 교향악단 부수석 역임
◇ 의왕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단원
◇ 강동 챔버 오케스트라 단원
◇ 롯데백화점 문화센터 첼로강사

전체댓글 0

  • 5842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기고] 클래식 공연 볼 때 박수는 언제 쳐야 할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